안녕하세요,
요즘 테니스의 인기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테린이들이 처음에 점수 새는 것이 헷갈리곤 하는데요
경기방식 및 점수 세는 방법에 대하여 글을 적어보겠습니다!
테니스 경기는 점수(point)→ 게임(game) → 세트(set)로 구성된다.
한 경기는 보통 3세트(3전 2선 승제)로 구성되며, 일부 게임에서는 5세트(5전 3선 승제)로 하기도 한다.
- 한 게임은 4점을 먼저 얻으면 승리
- 한 세트는 6게임을 먼저 이겨야 승리
- 다만, 점수가 3:3이면 듀스가 되어 연속해서 2점을 얻어야 게임 승리할 수 있음
- 게임이 5:5이면 게임 듀스가 되어 7:5로 이겨야 세트의 승자가 된다.
- 만약 게임이 6:6이 되면, 타이브레이크에 따라 서로 번갈아 서브를 해서 7점을 먼저 얻는 승자가 된다.
- 4대 그랜드 슬램 중 프랑스 오픈, 윔블던 대회의 마지막 세트는 타이브레이크 없이 2게임 연속 이겨야만 그 세트 종료
- 호주 오픈은 2019년부터 타이브레이크 도입했음
세트
상대가 5게임을 이기기 전에 먼저 6게임을 이기는 쪽이 승리한다.
- 게임이 5:5가 되면 먼저 7게임을 이기는 쪽이 그 세트의 승자가 됨
- 다시 6:6이 되면 타이브레이크로 승리 판별
게임
0점을 러브(love, 0)
1점을 핍틴(fifteen, 15)
2점을 써티(thirty, 30)
3점을 포티(forty, 40)
4점을 먼저 얻는 쪽이 이긴다.
3:3은 듀스(deuce)가 되며, 듀스 다음에 1점 득점하면 어드밴티지(advantage)라고 함.
- 어드밴티지에서 다시 같은 선수가 연속으로 1점 더 얻으면 게임 승자, 반대의 경우 다시 듀스
- 만약 3:3 듀스가 되었을 때, 먼저 상대방보다 2점 얻었다면 게임(game)
한 편에서 한 점도 내지 못하면 러브게임이라고 부른다.(포티 러브에서 한번 더 점수 먹은 경우)
보통 동호회에 나가면 앞글자만 부르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3점 : 1점이면 포핍, 0:2면 럽써 이런 식으로 부르기도 하더라고요
진행방식
1. 서브권을 가진 선수가 상대 코트로 서브를 넣어 처음 공을 넘긴다.
2. 상대 선수는 그 공을 '한 번' 바운드시킨 뒤 받아치며 시작한다.
3. 최초에 서브를 받아넘긴 이후에는 공을 바운드시키지 않고 바로 치는 것이 허용된다.
4. 다음과 같은 상황일 때 상대 선수가 1점 득점을 하게 된다.
- 서브를 넣을 때 두 번 연속 폴트 할 경우(이를 '더블폴트'라고 한다.)
- 상대의 서브를 1회 바운드 시키 후 넘기지 못한 경우
- 공이 두 번 이상 바운드되기 전에 쳐서 넘기지 못한 경우
- 공이 네트에 걸리거나 상대방 코트에 들어가지 못한 경우
- 공을 칠 때 두 번 이상 라켓에 맞거나 몸 혹은 옷에 닿았을 경우
라인
코트 가장 바깥쪽에 그려진 선은 '복식 사이드 라인'
- 복식경기에서 사용되는 코트를 표시
복식 사이드라인 안쪽에 평행하게 그려진 선은 '단식 사이드라인'
- 단식경기에서 사용되는 코트를 표시
복식 사이드라인과 단식 사이드라인 사이의 길고 좁은 공간은 '복식 앨리(alley)
네트와 평행하게 코트 양쪽 끝에 그려진 선을 '베이스라인(baseline)'
- 베이스라인 중앙에는 센터 마크가 있음'
네트와 베이스라인 사이에 평행하게 그려진 선을 '서비스 라인(service line)'
- 서비스 라인과 네트 사이의 공간에 서브가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한쪽 서비스 라인과 중앙에서 반대쪽 서비스 라인 중앙으로 네트를 가로질러 그려진 선을 '센터 라인'
서비스 라인과 센터 라인이 만드는 닫힌 직사각형 공간은 '서비스 박스'
- 서브하는 선수는 이 공간 안에 넣어야 한다.
- 공이 첫 바운드 시에 라인 안쪽 공간이나 라인의 일부분에 닿지 않을 경우 '아웃(out)'
모든 라인의 너비는 51mm(1.2인치)가 되어야 함
베이스라인은 필요에 따라 그 너비를 100mm(4인치)까지 늘릴 수 있음
심판
주요 경기에는 콜 저지 1명, 네트 엄파이어 1명, 풋폴트 저지 2명, 라인즈 맨 10명 등 14명의 심판으로 구성
- 콜 저지, 즉 주심은 네트 옆의 의자에 높이 앉아
- 네트 엄파이어는 네트 포스트 부근에서 서브, 네트에 관한 사항 등을 판정
- 풋폴트 저지는 서비스에서의 풋폴트를, 라인즈 맨은 인(in), 아웃(out)만을 판정
주요 용어
- 그라운드 스트로크(gound stroke) : 공이 땅에 한 번 떨어진 후 치는 스트로크
- 그라운드 스매시(gound smash) : 공을 땅에 떨어뜨려서 높이 튈 때 강하게 치는 샷
- 네트 플레이(net play) : 네트 가까이로 전진해서 발리, 스매시 등으로 득점하는 플레이
- 라운드 로빈(round robin) : 서로 한 번씩 꼭 맞붙게 한 경기, 폴리그라고도 함
- 시드(seed) : 대회 대진표 작성 시 랭킹이 높은 선수를 특정한 자리에 배정하는 것
- 랠리(rally) : 공을 계속 주고받는 것
- 로브(lob) : 상대가 네트 앞에 있을 때 공을 높게 쳐 상대방의 키를 넘어가게 치는 샷
- 폴트(fault) : 서브가 네트를 넘지 못하거나, 서브 영역 밖으로 들어간 경우
- 더블 폴트(double fault) : 두 번 연속 폴트 하는 경우, 이 경우에는 서버가 실점함
- 렛(let) : 경기 중에 일어나는 무효 판정, 돌발상황으로 게임 방해 있을 때 심판이 콜 하며 이전의 랠리는 무효
- 동호회에서 게임을 하다 보면 서브를 넣을 때 네트에 공이 스쳐서 인(in)이 되면 렛을 외치고 다시 퍼스트 서브 기회를 주는 경우가 있음
'테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니스 프랑스 오픈(롤랑 가로스)이란? 롤랑가로스, 즉 프랑스 오픈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2.08.17 |
---|---|
테니스 US오픈이란 ? 테니스 US 오픈 알아보기 (0) | 2022.08.16 |
테니스 호주 오픈, 오스트레일리아 오픈이란? (0) | 2022.08.15 |
테니스 대회 ATP 투어란 무엇인가? (0) | 2022.08.15 |
경기의 종류, 테니스 코트, 장비, 주요 대회 종류 알아보기! (0) | 202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