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테니스

테니스 호주 오픈, 오스트레일리아 오픈이란?

 

안녕하세요

그랜드 슬램에 대해서 저번에 정리를 해보았는데요,

이번에는 그런데 슬램 중 매년 1월에 개최되는 호주 오픈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호주 오픈 또는 오스트레일리아 오픈은 매년 1월 개최되는 세계 4대 그랜드 슬램 테니스 대회 중 하나!

  • 연중 가장 일찍 열림
  • 대회 장소 : 빅토리아주 멜버른에 있는 멜버른 파크
  • 남자 및 여자 단식, 남자 및 여자 복식, 남녀 혼합 복식, 주니어 및 시니어 경기 부문으로 나눌 수 있음
  • 메인 코트 : 로드 레이버 아레나, 하이센스 아레나 - 우천, 폭염 등 즉각적인 기상 상황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개폐식 지붕
  • 2008년까지 실내 경기가 가능한 그랜드 슬램은 호주 오픈이 유일했음(2009년부터 윔블던도 센터코트에 개폐식 지붕 설치)
  • 호주의 여름시즌 한 가운데 열리는 탓에 지독한 폭염으로 악명이 높음

    → 선수 보호를 위해 기온 및 습도가 어느 정도 이상 상승하면 '폭염 시 특별 규정'(extreme heat policy) 적용

  • 2009년 대회에서 그랜드 슬램 사상 일일 주/야간 최다 관객 동원 기록(66,018명) 
  • 2008년 코트 재질을 20년간 사용해온 리바운드 에이스에서 중간 정도의 바운드 속도에 쿠션층을 갖춘 아크릴 재질의 플렉시 쿠션으로 교체

안정성 높음, 열에 의한 변형이 적음(표면 최상층이 이전 재질보다 더 얇아졌음)

이러한 코트 교체는 호주 오픈 직전에 열리는 모든 리드업 대회에도 동일하게 적용

플렉시쿠션은 US 오픈에서 사용되고 있는 데코터프와 유사하다는 사실로 인해 도입 시 많은 비판받기도

 

 

호주 오픈의 역사

 

  • 호주 오픈은 '테니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주관
  • 1972년부터 개최 도시를 멜버른의 쿠용 론 테니스 클럽이 유일한 대회 장소로 사용되었음
  • 더 많은 관중 수용능력 요구 됨에 따라 멜버른 파크 건립되어 1988년 대회부터 새로운 대회 장소로 사용

    대회 장소 이전은 매우 성공적, 1988년 대회의 관중 수는 예년 비해 90% 증가하였음

 

  • 경기 일정 )  초창기에는 1월로 하다, 8월로 옮기기도 했고, 이후에는 12월에 열리기도, 1986년 대회를 건너뛰고는 1987년부터 1월 중순으로 정한 이래 지금까지는 1월에 개최하고 있음.

 

특징 

  • 호주에서 개최되는 정기 스포츠 행사 중 가장 큰 대형 이벤트
  • 호주의 휴가 시즌에 개최하여 가족 단위 휴가로 와서 구경하는 사람들이 많고, 관광객들의 필수 체크 코스
  • 하드 코트라서 바운드가 낮고 공이 빠름, 달려다가다 정확히 노려서 상대방이 되받아칠 수 없는 위닝샷을 가져가야 매끄러운 경기 운영 가능
  • 역대 4대 메이저 대회 중 제일 긴 시간의 결승전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대회

    - 노박 조코비치와 라파엘 나달, 호주 오픈 사상 최고의 명경기로 꼽히는 2012 호주 오픈 결승전으로 6시간 가까이 질행된 혈투 끝에 조코비치가 우승을 차지 (6시간을 어떻게 하죠.. 호달달합니다)

   - 공식적인 총 경기 시간은 5시간 53분 

(경기 종료 후 폐막식&시상식에서 두 선수 모두 제대로 서있지 못해 주최 측에서 이래적으로 의자와 물 한 병씩 갖다 주고 둘이 나란히 앉아서 폐막 연설 들음)

 

  • 2019년 대회부터 남자 단식 5세트, 나머지종목 3세트에서 게임스코어 6:6이 되면 10점 타이브레이크로 승부 보는 시스템 도입(2022년부터 모든 그랜드슬램 대회에 적용되는 표준 규정이 됨)
  • 2022년 대회부터 선심 모두 없어지고 판독 기술로 대체됨
  • 국내 자동차 기업인 기아자동차가 메인 스폰서인 대회

  - 본래 계약기간이 2018년이었으나 2018년 호주 오픈 남자 단식 시상식에서 기아 자동차 오스트레일리아 총괄 담당자의 기념사를 통해 5년 더 연장되어 2023년까지 유지된다는 사실 언급

 

 

 

트로피 및 상금

 트로피에는 역대 우승자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 여자 단식 우승 트로피 : 다프네 애커스트 컵
  • 남자 단식 우승 트로피 : 노만 브룩스 컵 (Norman Brookes Challenge Cup)

 

주요기록

- 2021년 대회 종료 기준

 

남자단식

기록 성명 횟수
최다 우승 노박 조코비치 9회
최다 결승진출 노박 조코비치 9회
최다 4강 진출 로저 페더러 15회
최다 본선승리 로저 페더러 102승

 

여자단식


성명 횟수
최다 우승 세레나 윌리엄스 7회
최다 결승진출 세레나 윌리엄스 8회
최다 4강 진출 세레나 윌리엄스 9회
최다 본선승리 세레나 윌리엄스 92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