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테니스

테니스 윔블던 대회, 화이트 의상컨셉으로 유명한 윔블던 대회에 대해 알아보기 PART 1. 일반적 특성과 역사, 경기 구성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세계 그랜드 슬램 테니스 대회 중 하나인 '윔블던' 대회에 대해서 적어보려고 합니다.

 

윔블던 대회는 영국 런던 윔블던에서 열리는 세계 4대 그랜드 슬램 테니스 대회 중 하나

  • 세계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테니스 대회로 널리 최고의 권위를 인정받고 있음
  • 1877년부터 런던 머튼 구의 윔블던에 위치한 '올 잉글랜드 클럽'에서 개최되어 왔음
  • 그랜드 슬램 대회 중 유일하게 잔디 코트를 사용
  • 매년 6월 말~7월 초까지 2주간 열리는 대회로, 대회의 마지막 토, 일요일에 각각 여자 단식과 남자 단식 결승 경기를 마지막으로 대회가 종료됨.
  • 대회는 5개의 메인 경기 파트, 4개의 주니어 경기 파트, 4개의 초청 경기 파트로 이루어진다.
  • 그랜드 슬램 대회 중 '호주 오픈'과 '프랑스 오픈(롤랑가로스)'에 이어 연중 세 번째로 개최되며, 이후에 US 오픈이 개최됨.
  • 남자 대회는 '퀸즈 클럽 챔피언십', '게리 웨버 오픈'이 각각 영국 런던과 독일 할레에서 '웜업'(warm-up) 대회로서 개최
  • 여자 대회는 버밍엄에서 AEGON 클래식이 웜업 대회, '유니세프 오픈'과 'AEGON 인터내셔널 대회'도 각각 네덜란드 스헤르토헨보스와 영국 이스트번에서 여자 웜업 대회로 개최됨.
  • 전통적으로 참가 플레이어에게 엄격한 복장 규정을 적용(화이트)
  • 딸기와 크림을 간식으로 즐기는 것, 국왕이 대회를 참관하는 것도 이어져 오는 전통 중 하나
  • 2009년 잦은 우천으로 인한 경기 지연 막기 위해 센터 코트에 개폐식 지붕을 설치하였음

 

 

윔블던의 역사

 

<초기>

  •  '올 잉글랜드 클럽'의 역사는 1868년에 설립된 사설 테니스&크로켓 클럽인 The All England Lawn Tennis and Croquet Club에서 시작
  • 1874년 또는 그보다 좀 더 이른 시기에 윌터 클롭튼 윙필드 장군에 의해 '스티케'라고 불렸던 스포츠인 '론 테니스'가 고되었고, 1875년 올 잉글랜드 클럽에서 이것을 클럽 활동에 추가
  • 1877년 봄 클럽 명칭을 ‘올 잉글랜드 크로케 앤드 론 테니스 클럽’으로 변경, 최초의 론 테니스 챔피언십을 개최하여 클럽 명칭의 변경을 널리 알림
  • 이 대회를 위해 이전까지 사용되던 경기 규정도 새로이 정비(네트 및 네트 포스트의 높이, 네트로부터 서비스 라인까지의 거리 등 일부 세부적인 코트 규격 제외하면 당시 제정된 규정은 오늘날 현대 테니스 규정과 거의 동일한 내용)
  • 1877년 7월 9일 시작된 첫 대회는 '남자 단식 경기'만 하였고, 스펜시 고어가 구식 헤로비안 라켓 사용하여 우승하였고, 결승전에서는 약 200명의 유료 관광객들이 경기를 관전
  • 1882년 클럽 활동의 대부분이 론 테니스로 한정되어, 클럽 명칭에서 크로게가 빠지게 되었으나, 정서적 이유로 1880년 다시 복원되어 이때부터 클럽 명칭은 '올 잉글랜드 테니스 앤드 크로케 클럽'이 되었음
  • 1884년에는 대회에 여자 단식, 남자 복식 추가되었고, 1913년 여자 복식과 혼합 복식 추가
  • 1922년 이전까지의 대회 우승자는 자동으로 이듬해 대회 결승 진출, 새로운 결승 진출자가 이에 도전하는 방식으로 대회 진행
  • 옛 윔블던에는 탑랭킹의 아마추어 플레이어들이 대거 참가하였고, 1968년 오픈 시대 시작될 때까지 지속
  • 1937년 대회 개최 이래 최초로 경기가 TV로 중계

 

cf 윔블던 효과란?영국에서 개최하는 대회에서 자국 선수가 우승하지 못하는 현상을 경제 현상 등에 비유하는 경제 용어

 

 

<1990년대 및 그 이후>

  • 1993년에 가장 오랜 전통과 역사를 자랑하는 최고 권위의 테니스 대회로서의 위상을 21세기에도 이어 나간다는 목표 아래 관람자와 참가 선수, 대회 진행요원들 및 지역 주민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대회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장기 계획 발표
  • 1단계 계획) 1997년 아오란지 파크(Aorangi Park)에 새로운 1번 코트와 방송 센터, 두 면의 추가 잔디 코트 및 언덕 지역 아래에 처치 로드와 서머셋 로드(Somerset Road)를 잇는 터널 완공하며 완성
  • 2단계 계획) 옛 1번 코트 경기장을 철거하여 여기에 선수 및 기자, 진행요원, 회원들을 위한 '편의시설'을 갖춘 새로운 빌딩을 건축하는 것, 센터 코트 서쪽 스탠드에 728석의 추가 좌석을 설치하는 것으로 완성
  • 2009년 센터 코트에 개폐식 지붕 설치하여 우천과 관계없이 지속적인 경기 진행이 가능한 환경 확보
  • 2009년 5월 17일에 개폐식 지붕 설치를 기념하는 축하행사인 A Centre Court Celebration을 개최하였으며, 이 행사에서는 안드레 애거시, 슈테피 그라프, 킴 클리스터스, 팀 헨만의 초청 경기가 함께 열렸음
  • 정식 대회에서 새로운 지붕을 최초로 사용한 대회는 이 해 윔블던 여자 단식 4회전 '디나라 사피나'와 '아멜리 모레스모'의 경기 도중에 시작된 비로 인해 지붕을 닫고 경기 속행한 것
  • 전체 경기가 지붕 닫고 진행된 최초 경기) 2009년 6월 29일 열린 윔블던 남자 단식 '앤디 머레이'와 '스타니슬라스 바브링카'의 경기
  • 윔블던에서 하루 중 가장 늦게 종료된 경기는 2010년 대회 남자 단식 1회전(노박 조코비치 vs 올리비에 로쿠스 경기)로, 오후 10시 58분에 '조코비치'의 우승으로 종료되었음
  • 2009년 2번 코트를 위한 4000석의 새로운 좌석이 옛 13번 코트에 설치
  • 2010년 9월 3번 코트를 위한 200석 새로운 좌석 설치가 옛 2, 3번 코트에서 진행되었음
  • 130년 넘는 개최 역사에서 대회가 열리지 못한 경우는 딱 9회인데 그 중 8회가 세계대전의 영향
  • 2020년 4월 1일 COVID-19로 인해 2020년 대회 취소되었음. 1945년 2차 세계대전 이후 75년만
  • 영국 내 확진자 추세가 매우 심각, 잔디 코트 특성 상 관리가 매우 힘들고, 여름철이 지나면 경기용으로 쓰는 것이 부적합해 사실상 연기라는 선택지가 없었기 때문에 취소된 것임.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반발한다는 의미로 '러시아' 및 '벨리루스' 국적 선수들의 참여 불허하는 조치 단행하였지만, ATP와 WTA는 정성과 차별금지 원칙에 위배된다며 윔블던 본선 모든 경기의 결과에 관계없이 랭킹 포인트 미부여 조치를 검토 중이라는 폭탄선언

 

윔블던 경기 구성

5개의 메인 경기 부문과 4개 주니어 경기, 4개 초청 경기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음

 

메인 경기

5개 메인 경기의 구성 및 참가 인원(팀)은 다음과 같다.

  • 남자 단식(128 드로)
  • 여자 단식(128 드로)
  • 남자 복식(64 드로)
  • 여자 복식(64 드로)
  • 혼합 복식(48 드로)

 

주니어 경기

칠드런스 윔블던이라는 명칭 줄여 '침블던'(Chimbledon)이라는 약칭으로도 부르며, 구성 및 참가 인원(팀)은 다음과 같음

주니어 경기에 혼합 복식은 업음

  • 남자 단식(64 드로)
  • 여자 단식(64 드로)
  • 남자 복식(32 드로)
  • 여자 복식(32 드로)

 

초청 경기

4개 초청 경기의 구성 및 참가 인원(팀)은 다음과 같다.

  • 남자 초청 복식(8개 팀 라운드 로빈)
  • 시니어 남자 초청 복식(8개 팀 라운드 로빈)
  • 여자 초청 복식(8개 팀 라운드 로빈)
  • 남자 휠체어 복식(4개 팀)
  • 여자 휠체어 복식(4개 팀)

 

경기형식

  • 남자 단식 및 남자 복식경기는 5세트 3선 승제이며, 그 외 경기는 3세트 2선 승제로 진행
  • 게임 스코어가 6-6으로 동률을 이루면 '타이브레이크' 적용
  • 모든 경기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어 경기 패자는 토너먼트에서 바로 탈락
  • 단, 남자 초청 복식, 시니어 남자 초청 복식, 여자 초청 복식은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
  • 1922년 대회 이전까지는 대회 우승자가 이듬해 대회 결승에 자동으로 진출(여자 복식, 혼합 복식은 제외) 새로운 결승 진출자가 이에 도전하는 방식으로 대회가 진행되어, 한 선수가 여러 해에 걸쳐 연속으로 우승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았고, 1922년 대회부터 이러한 방식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