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전에 테니스의 황제 페더러의 특징과 전성기 플레이 스타일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에는 페더러의 약점과 페더러 평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페더러의 약점
- 클레이 코트가 약하다는 평이 있지만, 이는 대표적인 오해로 실제로 클레이 코트에서도 강함
- 2021년 기준 롤랑가로스에서 결승 진출 5회, 우승 1회, 준우승 4회, 4강 진출 3회 포함하여 73승 17패(승률 81.11%)로 뛰어난 성적 기록 - 4강 이상 진출 8회 비롯 5회 결승 진출, 통산 73승은 역대 테니스 선수 중 3위
- 클레이 코트의 마스터스 대회에서도 6회 우승 포함하여 상위권 성적 다수 기록했으므로 클레이 코트에서 약하다고 평가하긴 어려움.
- GOAT 다루는 노박 조코비치, 라파엘 나달과 비교한다면 클레이코트 기록이 많이 부족한 것은 틀림없는 사실
- 페더러가 유일하게 롤랑가로스 우승을 기록한 2009년은 이래저래 운이 많이 따라줬다고 볼 수 있음
- 나달이 없었다면, 잔디 코트/하드 코트/ 클레이 코트를 모두 완벽하게 지배했을 가능성이 높음
- 우아하다는 평을 받기까지 하는 페더러의 한 손 백핸드는 나달과의 매치에서 약점으로 공략 대상
- 나달의 백핸드 공량으로 백핸드 실수를 연발하며 무너졌기 때문에 라켓을 기존에 쓰던 것보다 조금 큰 사이즈로 교체한 후 이마저도 보완했고, 나달의 탑스핀이 전성기 때만은 못한 것과 맞물려 최근 나달과의 전적에서 5연승, 상대전적도 많이 좁혀놓고 있음. 즉 클레이코트만 아니라면 이전같이 들어갈 때부터 왠지 위축되는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는 것
- 현재 페더러의 최대 약점으로 꼽히는 부분은 역시 노화로 인한 체력
- 2020년 기준 현역 테니스 선수로서는 매우 고령인 39세(81년생)인데 빅 4로 분류되는 나달이 86년생, 조코비치와 앤디 머리가 87년생, 알렉산더 즈베르프(97년생), 도미니크 팀(93년생) 등과 비교하면 더더욱 차이가 남
- 테니스라는 운동 특성상 체력 소모가 굉장한 편이라 40대의 페더러에겐 큰 약점이 아닐 수 없음
- 그랜드 슬램 대회 기준 경기 시간이 2시간이 넘어가면 체력적 부담이 찾아와 움직임이 느려지고 실수도 많아지는 게 보이는데, 경험과 집중력으로 풀세트 접전까지 흘러가도 굉장한 모습을 보여주곤 있지만 확실히 1~2세트에서의 모습보단 떨어지는 게 현실
- 2010년 중반부터 강력한 서브와 리턴/상대가 치기 어려운 절묘한 코스로 떨어지는 샷을 치며 최대한 단시간에 승부를 보는 상당히 공격적 스타일로 승부수를 띄우고 있음
- 엄청난 체력 관리 능력을 보여주는 페더러라고는 하지만 금방 폼이 떨어져도 이상하지 않을 나이어서 앞으로의 관리가 경쟁력 유지 여부를 판가름할 전망
페더러에 대한 평가
"In an era of specialists - you're either a clay court specialist, a grass court specialist, or a hard court specialist - or you're Roger Federer."
스페셜리스트들의 시대에선, 당신은 클레이 코트 스페셜리스트이거나, 잔디 코트 스페셜리스트이거나, 하드 코트 스페셜리스트이거나, 아니면 로저 페더러일 것이다.
-지미 코너스-
- 2004~2007년까지 완벽한 네 시즌을 보내며 역대급 커리어를 쌓았고
- 2009년 이후로는 약 10년의 기간 동안 명실상부한 역대 최고의 선수라고 평가를 받던 선수
- 라파엘 나달, 노박 조코비치와 더불어 빅 3으로 묶임
- 페더러가 GOAT가 아니란 주장의 근거로 나달(16승 24패), 조코비치(23승 27패)와의 상대전적에서 모두 밀리며, 특히 전성기 시절에도 나달에게 많이 밀렸던 점, 빅타이틀(슬램+올림픽+투어 파이널+마스터스 우승 횟수) 개수가 셋 중 가장 적은 점, 페나조 중 유일하게 더블 그랜드슬램이 없다는 점, 전성기 시절 마땅한 적수가 없어 상대적 이득을 많이 봤다는 점이 주로 제시. 나달은 골든 슬램 달성(올림픽 금메달+커리어 그랜드 슬램), 조코비치는 유일한 더블 골든 마스터스(모든 마스터스를 우승) 달성했다는 점도 GOAT 논쟁의 근거로 사용
- 페더러의 위크에라(Weak Era)는 특히 국내외 막론 매우 열띤 논쟁이 펼쳐진다. 이 위크에라는 보통 2003~2007년 정도로 잡는데, 페더러를 뒤쫓던 Top 10 급 플레이어들이 8강, 4강, 결승까지 꾸준히 가면서 페더러와 경기하며 떨어진 게 아니라 중간에 광탈을 많이 할 정도로 지배력이 약했기 때문.
- 페더러가 40대까지 선수 생활을 이어오고 있는 노장이 된 상태에서도 나달, 조코비치 같은 시대의 선수들 또한 상대했다는 사실은 변치 않음. 즉, 2010년대에는 30대 페더러를 상대할 선수가 거의 없었다는 뜻.
- 전성기 지난 페더러의 30대 시절에도 세계 랭킹 1~3위를 꾸준히 유지해왔기 때문에 전성기가 압도적이었던 이유를 단순히 위크 에라 때문이라고 치부하긴 어려움
- 페더러 전성기 시절 라이벌들이 비교적 약했던 것이 사실이라도, 대기록을 세운 건 사실이기 때문.
- 페더러가 나달에게 약했던 것은 맞지만 조코비치에 약하다는 사실은 왜곡된 면이 있음
- 조코비치보다 반~한 세대 위의 선수로, 페더러 전성기는 2004년부터, 조코비치의 전성기는 2011년부터로 무려 7년이나 차이가 남. 그래서 페더러-조코비치 경기의 상당수는 페더러의 전성기가 지난 상태에서 치러졌음. 그럼에도 둘 간 상대 전적은 페더러가 대부분 우세했고, 페더러가 34살 노장이 된 2016년이 되어서야 조코비치가 상대 전적 역전시켰음. 당장 2011년 조코비치가 43연승 거두며 최전성기를 달리고 있었을 때, 롤랑가로스 4강에서 조코비치에게 패배를 안겨준 게 페더러
- 위크에라에 관한 논쟁을 제외하더라도 이미 조코비치나 나달이 페더러와 같은 수, 혹은 그 이상의 그랜드슬램 우승을 달성했기에 이미 페더러를 능가했다는 평을 받고 있는 상황
- 사실 '누가 역대 최고의 선수냐'라는 주제만 놓고 보니 나달과 조코비치에 비해서 부족한 점이 있을 뿐, 페더러의 커리어는 그 자체로 이미 완벽한 커리어
- 커리어 그랜드슬램을 달성했고 1위 기간 310주, 20회의 메이저 대회 우승, 6회의 파이널스 우승, 28회의 마스터스 시리즈 우승은 앞으로도 테니스계에서 어떤 천재가 나온 들 쉽게 넘기기 힘든 업적
'테니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니스 남자 랭킹1위 다닐 메데베데프 알아보기 part2. 메데베드프 경력 알아보기(2019~2020년) (0) | 2022.08.18 |
---|---|
테니스 남자 랭킹1위 다닐 메데베데프 알아보기 part1. 커리어와 플레이 스타일 (0) | 2022.08.18 |
스트로크가 좋아 부러운 '로저 페더러'에 대해 알아보자. PART1. 페더러와 전성기 경기 스타일 (0) | 2022.08.17 |
테니스 윔블던 대회, 화이트 의상컨셉으로 유명한 윔블던 대회에 대해 알아보기 PART 3. 잔디코트, 주요기록, 기타 특징 등 (0) | 2022.08.17 |
테니스 윔블던 대회, 화이트 의상컨셉으로 유명한 윔블던 대회에 대해 알아보기 PART 2. 트로피와 상금, 복장규정 (0) | 2022.08.17 |